깜놀 ^^ 고교때..그리 왜웠던..ㅋㅋ
3.1 독립선언문...^^;;;
오늘 일요일 ^^ 서문이 길어봐야...그래서 오늘은....사진만 올려봅니다..^^
집에 계시는 벗님들 즐감하세요...ㅎㅎ
독립관 [獨立館]
당시 모화관은 중국사신을 접대하는 영빈관으로 사용해오던 사대(事大)의 상징적 건물인데, 청일전쟁 이후에는 사용하지 않아 방치되어 있었다. 독립협회는 모화관을 개수하여 독립관이라 부르고 독립협회의 사무소 및 집회장소로 사용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약 2,000원 정도의 경비를 들여 1897년 5월 개수를 끝냈다. 독립협회에서는 독립관을 사무실로 사용함과 동시에 매주 일요일 오후 3시 회원들이 독립관에 모여 견문과 학문에 도움이 되는 말들을 강론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처음에는 회원들이 독립관에 모여 한담이나 하는 경우가 많았다. 8월 8일 독립협회 회원들은 토론회를 조직할 것을 결정하고, 8월 29일 독립관에서 제1회 토론회를 가졌다. 대체로 토론회는 수백 명이 모이는 성황을 이루었다. 독립협회측은 겨울에도 토론회를 계속하기로 하고, 제12회 토론회(1897. 12)부터는 추위로 인해 참석자가 통행에 고통을 겪을 것을 염려해 장소를 독립관으로부터 전경기감영내아(前京畿監營內衙)로 옮겨 개최했다. 독립관은 한말에 독립협회 활동의 근거지이자 독립의 상징적 건물이었다.
독립문 [獨立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에 있다. 사적 제32호. 높이 14.28m, 너비 11.48m. 중국사신을 접대하던 모화관(慕華館)의 정문인 영은문(迎恩門)을 허물고 그 자리에 세운 것이다. 1896년(건양 1) 미국에서 돌아온 서재필 (徐載弼)이 조직한 독립협회 발의로 고종의 동의를 얻어 3,825원을 모금해 1896년 11월 21일 정초식을 거행하고 이듬해 11월 20일 완공했다. 독일 공사관의 스위스인 기사가 설계했으며, 당시 서양건축의 조영경험이 있던 목수 심의석(沈宜碩)이 공사감독을 맡아 중국인 노동자를 고용해 만들었다. 설계자가 당시 우리나라에서 많은 건물을 설계한 러시아인 사바틴이라는 설도 있다.
45×30㎝ 크기의 화강암 1,850개를 쌓아 만든 이 문은 가운데 무지개 모양의 홍예문(虹霓門)이 있고 내부 왼쪽에 옥상으로 통하는 돌층계가 있으며, 꼭대기에는 난간을 둘렀다. 이맛돌 위에 앞뒤로 한글과 한자로 '독립문'이라 쓰고 그 좌우에 태극기를 조각한 현판석을 달아놓았다. 프랑스의 개선문을 본떠 만들었지만 쌓는 방법은 우리나라 전통기법을 사용했다. 무지개문 좌우의 받침기둥, 모서리의 귓돌, 꼭대기의 난간만이 서양식을 따르고 있을 뿐이다.
1917년 수리공사를 했으며 1928년 기초가 무너질 위험이 있어 조선총독부에서 공사비 4,000원을 들여 벽체 안쪽을 철근 콘크리트로 보강했다. 1979년 금화터널 공사로 인해 원래 자리에서 70m 떨어진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원래 자리에는 "독립문지 이전일자 1979. 7. 13. 서울특별시장"이라고 새긴 동판이 묻혀 있다. 독립문 앞에 영은문의 석재 초석이 있는데 이는 사적 제33호로 지정되어 있다. -브리태니커-
서대문형무소역사관 홈페이지
http://www.sscmc.or.kr/newhistory/index_culture.asp
'국내여행 > 서울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여행]디지털 미디어 시티 에는 멋찐 조명 예술품이 있다 그들 THEY 이진준 캬~~ 모꼬!!! (0) | 2013.02.18 |
---|---|
[서울여행]상암 DMC(Digital Media City Gallery) 디지털 미디어 시티 홍보관 뿌나 혼자 놀아보기. (0) | 2013.02.17 |
[서울여행]더운여름 시원한 물줄기와 아이들 보는 것만으로도 행복입니다.^^;;; (0) | 2012.06.27 |
[서울여행]여기는 광화문 이순신상 분수대 아이들 (0) | 2012.06.02 |
[서울여행]서울 하늘 아래 또 다른 한국이 있는 여기는 서울속 남산골 한옥마을 ^^;;;(3/3) (0) | 2012.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