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경남여행

창녕여행/소원농산 - 상황버섯만 20여년 그 느낌으로 건강을 지키자! ^^

728x90
SMALL

뿌나는 창녕군 장마면으로 귀농귀촌귀산을 한 것은 

인연이 소원농산의 사장님이 였습니다.

부지런하라면 어느 누구보다도 대단하신 분 ^^;;;

평생을 농업과 상황버섯으로 행복하신 분

이번에 소원농산은 해외수출 대한민국 최초 10회 수출달성!!!

대한민국 최초로 공중 6단재배를 

로얄티 없이 공개하신분!!!

인터넷 검색창에 소원농산 이라고 치시면 상세하게 나와 있습니다.

상황버섯에 대한 팁!!!

전적으로 뿌나의 관심에서 본 것이니 오해마시고 참조만 하시란!!!

(자료는 이곳 저곳 인터넷및 도서에서 인용했습니다.)

일명 뿌나의 자료~짜집기입니다. 오해는 마시란!

이글에 혹여 본인의 글이 있었써 내리라면 내리겠습니다. ㅠㅠ

이곳 저곳에서 모은 자료 혼자보기 아까워서..공유해봅니다. ^^;;;

 

상황버섯을 공부하다. 상황버섯의 우수한 효능.

벌써..창녕에서의 시간이 5년이 되어갑니다.

벗님들~

행복한 가득한 순간 즐기고 계시죠!?

 

뿌나도 열심히...추억만들기 중입니다.

시간이 지나..지금의 시간이 넘넘 소중하리라..믿는 관계로...

함께...느끼고 함께 공부해보자능....ㅎㅎㅎㅎ

 

상황버섯의 종류

* 국내에는 8종의 자연산 상황버섯이 자생하고 있다.   

 자연산 상황버섯은 흔히 산뽕나무에서 만 나는 줄로 알고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자연산 상황버섯은  첫째 조건이 오염되지 않은 청정 지역에 자생을 하며, 활엽수(산벗나무, 자작나무,

 산뽕나무, 박달나무, 황철나무, 쥐똥나무, 개복숭아, 접골목 등)에서 채취가 되고 일부 침엽수

 (가문비나무, 전나무)에서 채취가 되고 있다.

 상황버섯의 색상은 대부분 황록색을 띄며 아래 쪽은 번들 거림이 있고 윗쪽은 검은 색을 띄며 거칠고

 나무의 나이태 같은 주름이 있다.

 성장시기는 5월에서 9월까지 성장을 하며 1년에 2mm~5mm 정도 성장을 하며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는 성장을 멈춘다.

 보통은 죽은 나무나 죽어가는 나무에 포자가 붙지만 살아 있는 나무라도 수백년된 고목이나 나무의 상  처부위에 버섯이 자랄 수 있다.

 상황버섯은 나무에 포자가 붙어서 5년이상 자라야 상품으로의 가치가 있는 모양을 갖출 수 있으며 자생

 조건이 맞으면 나무가 썩을 때까지 수 십년을 자랄 수 있다.

 자연산 상황버섯은 특별한 맛은 없으며 약간의 나무향이 난다.

 

       * 자연산 상황버섯의 효능 

 1. 소화기 계통의 암인 위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결장암, 직장암, 을 비롯한 간암의 절제 수술후 화학

     요법을 병행할 때 면역기능을 항진시킨다.

 2. 자궁출혈 및 대하,월경불순, 장출혈, 오장 및 위장 기능을 활성화 시키고 해독 작용을 한다.

 

        * 항암 치료제로서의 상황버섯

  "면역이 암을 죽인다" 라는 말이 있다 이는 역으로 말하면 체내에 면역이 떨어지면 곧 암이

   암이 발병하게 된다는 뜻이다. 상황버섯의 자실체가 임이 발병한 암세포에 대하여 면역력을

   증강시켜 암세포의 발병을 억제시킴으로서 암을 치료하게 되고, 정상적인 이체의 면역력

   감소는 상황버섯을 이용하여 예방함으로써 암세포의 발병자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담자균중 월등히 항암력을 지닌 것이 상황버섯인데 종양 저지율이 96.7%로서 가장

   강력한 항암력을 지니고 있다.

 

       * 상황버섯의 복용방법 

    상황버섯은 극히 적은 양으로도 큰 기대를 얻을 수 있는 아주 뛰어난 약용버섯이다

    이 상황버섯을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복용하는 방법은 액체화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버섯에는

    약간의 독성이 있으므로 체질에 따라 다르지만 한번에 너무 많은 양을 복용하는 것은 위험을 받을 수

    가 있다.  야생상황버섯 3g~5g이 체중70kg인 성인1일 복용양이다.

 

   찬물 300~500cc에 상황을 3~5g 넣고 뜸들이는 불로 물의 양이 반으로 줄어 들때까지 놔 두었다가

   끊으면 불을 끄고 식혀서 하루에 3번 나누어 복용한다. 맛이 없으므로 영지를 3~5g섞어서 함께 달이면

   좋은 상황차를 만들 수 있다.

 

   단, 한방처방에 의해 소화기 암( 위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결장암,직장암, 간암) 암수술

   환자는 1일 3회 식후 복용하고, 자궁출혈 및 대하,월경불순, 장출혈, 오장 및 위장기능 활성

   화 해독작용은 1일2회 식전에 복용한다.

 

         * 상황버섯 복용법 . 달이는법

   도자기나 유리로 된 용기를 사용하여 물 2,000cc에 상황버섯 30 ~ 50g을 잘게 쪼개서 넣고 센 불로 시작하여 끓으면 물이 반으로 줄 때까지 달인다.

   달인 물은 다른 용기에 비우고 다시 물 2,000cc를 부워 다시 재탕을같은 방법으로 해서 모두

  세번을 반복해서 삼 탕을 한다.

  그 세번 끓인 물을 한곳에 혼합하여(3,000cc) 이것을 유리병에 넣어 냉장보관하고 하루에 3회 식 전나 식 후에 따뜻하게 해서 차 마시듯 복용한다.

  끓인 버섯은 버리지 마시고 역시 재탕해서 보리차 대신 드시면 좋습니다( 이상은 약10일 분입니다) - 덩어리를 반으로 쪼개어서 다시 재탕하셔도 됩니다. 

 

국내에서는 8종의 자연산 상황버섯이 자생하고 있습니다.

(요곤 개인적 생각에 가깝습니다. ^^;;; 오해마시란) - 뿌나는 전문교육자도 아니고 그냥 평범한 농부입니다.


자연산 상황버섯이 자랄 수 있는 첫째 조건은 오염이 되지 않은 곳이어야 합니다.
국산자연산 상황버섯의 특징은 형질은 목질이며 나무에 붙는 위치로 볼때 아래쪽은 번들거림이 있으면 색은 황색 또는 갈색을 띱니다.
자연산 상황버섯은 대부부 활엽수(산벗나무,자작나무,산뽕나무,박달나무,황철나무,쥐똥나무,개복숭아나무,시무나무,접골목 등)에서 채취가 되고 드물지만 일부 침엽수(가문비나무,전나무)서 채취가 됩니다.
국산자연산 상황버섯은 나무의 종류나 나무에 버섯이 붙는 위치, 환경(일조량) 등에 따라 모양이 색이 달라집니다.
성장은 따뜻하고 비가와서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는 5월부터 9월까지 성장을하며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는 성장을 멈춥니다.
1년간 성장하는 두께는 환경이나 버섯이 붙는 나무의 종류에따라 차이가 있으나 보통은 2mm~5mm까지 성장합니다.
보통은 죽은나무나 죽어가는 나무에 포자가 붙지만 살아 있는 나무라도 수백년된 고목이나 나무에 상처가 난 부위에 버섯이 자랄 수 있습니다.
나무에 포자가 붙어서 5년이상 자라야지만 상품으로의 가치가 있는 모양을 갖출 수 있으며 환경이 좋으면 나무가 썩을때까지 수십년을 자랄 수 있습니다.
자연산 상황버섯의 맛은 특별한 맛은 없으며 약간의 나무향이 날 수 있습니다.

※복용시 주의할점은 가루로 드시는 것은 소화를 시키는 위장에도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유용성도 떨어집니다.
상황버섯에서 다당체를 추출할려면 높은 온도를 가하여야만 다당체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베타클루간)

현재까지 알려진 방법은 열수추출 방법이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달일때는 약탕기나 유리로된 용기가 좋으며 금속용기를 사용할 경우 화학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유용성이 떨어집니다.

소원농산의 진액골드, 골드진액, 상황버섯차는 6시간이상 고압으로 다렸습니다.

 

 

 

1. 박달 상황버섯

2. 뽕나무 상황버섯

 

 3. 시무나무 상황버섯

시무나무는 가시가 나있고 듬성듬성 것껍질이 아카시아와 비슷하다.

 

4. 황철상황

5. 황철편상황

 

6. 개회상황

 

 

7. 개복상황

8. 병꽃(접골목) 상황버섯

 

9. 산벗나무 상황버섯

 

상황버섯은 진흙 버섯과(課) 진흙버섯속(屬)에 속하는 버섯으로 이와 유사한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마른 진흙버섯 - Phellinus Gilvus
말또 진흙버섯 - Phellinus Lgnarius
진흙버섯 - Phellinus Robustus
검은 진흙버섯 - Phellinus Nigricans
낙엽송 버섯 - Phellinus Pini
녹슨 진흙버섯
가지진흙버섯
벚나무 진흙버섯
전나무 진흙버섯

뽕나무 상황버섯

 

(은사시)황철상황버섯

 

 

 

 

 

 

 

 

 

개회 상황버섯

 

 

 

 

단풍나무 진흙(상황)버섯

 

 

박달나무 상황버섯

 

 

 

 

병꽃상황버섯

 

 

 

복숭아 상황버섯

 

 

뽕나무 상황버섯

 

 

 

 

 

 

 

자작나무 상황버섯

 

 

 

 

 

 

 

쥐똥상황버섯 개회상황이라고도 합니다

 

찔레상황 버섯 SA702386

 

 

황철상황버섯

 

 

 

 

 

 

 

 

 

갓 송상황버섯(가문비나무)

 

 

 

 

 

 

혹 송상황버섯(가문비나무)

 

 

 

상황버섯의 우수한 효능이 다음과 같은 문헌에 기록되어져 있는데,

 

-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  현, 벽에 좋다. 현은 배꼽 주위 힘줄이 당기고 난소 고환이 아픈 증상, 벽은 양 옆구리에 멍울이 생기고 아픈 증상이다. 이는 임파선 질환이나 유방암으로 해석된다.

본초강목(本草綱目) : 차고 독성이 없으며 온화하고 독을 다스린다. 여성의 하혈 복통 금당 대하 음통, 남자의 벽오장에 유리하다. 양기에도 좋다.

- 중국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 적비(赤鼻) 즉 술독에 의한 딸기코와 주독에 신(神)과 같은 효험이 있으며 후에도 회복이 빠르다. 위장질환 개선에도 좋다.

 

중약대사전 (中藥大辭典) : 달고 매운 맛이 느껴지며 독성이 없다.

 

동양의학대사전 (東洋醫學大辭典) : 독성이 없고 온화하고 독을 다스린다. 오장에 좋고 위장에 이롭다. 복통 난소 고환이 아프나 여성대하 산후지혈에도 효과가 있다.

 

특히 황제비경에 보면 "뽕나무의 누런 덩어리 한 개로 죽어가는 사람을 살렸다"는 전설같은 얘기가 전해진다.

 

 

☞ 항종양저지율

항종양저지(암세포 Sarcoma 180/마우스)은 다음과 같이 종별로 다양하며, 다른 버섯에 비하여 높은 편이다. 그러나 일부의 종만 연구되고 나머지 종의 상황버섯이 연구되지 않고 있어 매우 아쉽다.

 

- 낙엽송층버섯(Porodaedalea pini) : 100%

- 목질진흙버섯(Phellinus linteus) : 96.7%

- 마른진흙버섯(Phellinus gilvus) : 90%

-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ius) : 87.4%

- 말굽진흙버섯(Phellinus setulosus ) : 70%

- 젓(전)나무진흙버섯(Phellinus hartigii) : 67.6% or 67.9~100%

 

 

 

 참고 :  버섯 추출 엑기스의 항종양 실험표

 

NO

버섯 이름

 종양 저지율

 종양의 완전 퇴축율

A.

    구멍장이 버섯과

1.

    잔나비걸상버섯

64.9%

5/10四/四

2.

    구름버섯

77.3

4/8

3.

    흰구름버섯

65.0

2/10

4.

    대합송편버섯

49.2

1/10

5.

    조개껍질버섯

23.9

0/9

6.

    삼색도장버섯

70.2

4/7

7.

    아카시재목버섯

44.2

3/10

8.

    기와옷솔버섯

45.5

1/10

9.

    흰융털구름버섯

59.5

0/10

10.

    벌집버섯

71.9

0/10

11.

    말굽버섯

80.0

2/8

12.

    소나무잔나비버섯

51.2

3/9;

13.

    쓰가불노초버섯

77.8

2/10

14.

    자작나무버섯

49.2

0/7

15.

    등갈색미로버섯

80.1

0/8

B.

    진흙버섯과

16.

    전나무진흙버섯

67.6

1/9

17.

    말똥진흙버섯

87.4

6/9

18.

    상황버섯

96.7

7/8

C.

    송이과

19.

    표고버섯

80.7

6/10

20.

    팽이버섯

81.1

3/10

21.

    느타리버섯

75.3

5/10

22.

    송이버섯

91.8

5/9

자료출처 :現代出版(日本 東京都)/1996.8版/奇蹟의 藥效버섯/著 :水野卓

 

 참고 : 진흙버섯(Phellinus. sp) 속의 여러 종들의 약효 및 sarcoma 180에 대한 항암효과(Ying, et al., 1987)

☞ 효능

구체적인 효능은 아래와 같다.

 

0 항암효과

다당체(베타글루칸)가 면역체계를 활성화시켜 항암활성, 면역활성 및 항종양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다당체 함유량은

56.68㎍/10g으로서, 차가버섯의 1/10.76 수준이다.

다당체의 작용과 상황버섯에 대한 연구결과 등은 별도의 세부자료에서 확인바란다.

  

 참고 : 상황버섯의 성분 비교표(일본 북해도립식품가공센터 : 2003.6.27)

 

항목 단위 차가버섯 상황버섯 아가리쿠스  
SOD 단위/g 11,449 4,452 3,448
β-1,3 글루칸 ㎍/10g 56.68 5.27 10.86
나트륨 mg/ℓ 30.25 30.37 56.75
칼륨 mg/ℓ 30.25 9.9 21.0
칼슘 mg/ℓ 8.893 2.99 8.8
mg/ℓ 0.42 0.06 0.09
아연 mg/ℓ 0.005 0 0.005
마그네슘 mg/ℓ 1.73 0.81 1.92
비타민C mg/ℓ 33.7 31.5 22.2

 

 

  - β-1,3 글루칸 : 고분자 다당체(polysaccharide)의 일종

  - SOD(SuperOxide Dismutase) : 항산화 효소(활성산소 처리 효소)

 

그리고 암억제효과가 말굽버섯보다 못하는 자료가 있으니 참고바란다.

 참고 :  2003년 3월29일 MBC의  토요일은 떠나볼까 프로그램

 

0 활성산소 제거

 

활성산소는 인체에 파고들어 갖가지 부작용을 일으키며, 세포와 유전자를 공격하고 파괴하여 노화현상을 일으키고 각종 성인병을 유발한다. 상황버섯은 이런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SOD(황산화 효소) 4,452/g으로서, 차가버섯의 1/2.57 수준이다.

 

0 당뇨병, 고혈압, 골레스테롤 저하작용, 동맥경화 예방 등에 효과

중앙대학교 황완균 교수와 경남생약연구소 성환길 박사팀이 경남도농업기술원의 벤처농업과 함께 기획한 버섯돌이 3형제 진주상황버섯(대표 최용주)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지난 1년간 동물실험을 한 결과, 상황버섯이 당뇨병 등 성인병 예방 치료에 뛰어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0 자궁출혈 및 월경불순에 효과

0 빈혈 예방 및 치료

0 체력 증진

0 위장기능 활성화

0 숙취 해소 및 해독 효과 등

 

그러나 효능(면역활성) 상태에 따라서 틀려진다. 즉 균사체보다는 자실체(버섯 형태)가, 성장년도가 얼마 안된 자실체보다는 오래된 자실체가 그리고 재배산보다는 자연산이 더 좋은 것이다. 이를 놓고 보면 1년차 내외의 갓을 형성하지 않은 덩어리 상태의 재배산 목질진흙버섯은 수년~수십년간 제대로 성장한 자연산 말똥진흙버섯보다 효능이 못하다는 이야기다.

 참고 : 한국과학재단 핵심 전문연구과제 (과제번호 : 961-0606-021-2) 지원에 의한, 대구대 송치현 교수의

              "고분자 물질을 추출하여 면역활성을 anti-complementary assay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1. 자연산 상황버섯 : 65.77%

2. 재배산 상황버섯 : 63.94%

3. 액체배양 균사체(제약회사) : 41.95%

4. 배양액 : 21.87%

 

아울러 요즘은 자연산 상황버섯도 캄보디아 등 외국에서 많이 생산되는데, 출산지별로 효능이 차이가 있는지, 없는지는

구체적인 실험자료들이 없어서 아직 잘 모르겠다.

 

☞ 독성 및 부작용 

 

독성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러나 의사들이 건강한 사람은 상관없는데,

B형간염 등 간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상황버섯을 먹지 말라고 주장하니 참고하기 바란다.

 자료출처:무심거사의 주정부리(봉이 김선달님)

 

위의 글은 뿌나의 주관적 견해의 자료를 짜집기 한 것입니다.

전문적인 글도 아니며 많은 분들의 글을 자료로 만든 것입니다.

오해하지 마시기를 바랍니다. ^^;;;;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