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서일범기자 squiz@sed.co.kr
아시아의 코끼리 인도 경제가 뒷걸음질 하고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까지만 해도 10% 선에 육박했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회계연도 2011년 기준 6.9%까지 추락(인도 통계청 추산)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는 사정이 더 안 좋다. 미국 등 서방국가의 이란 제재가 원유값을 밀어 올릴 가능성이 크고 그리스발(發) 유럽 재정위기의 여파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가뜩이나 높은 물가로 신음하는 인도 입장에서 유가 상승은 경제에 치명타를 안길 가능성이 크다. 고질적인 부정 부패와 시장 규제, 거북이 행정도 걸림돌로 꼽힌다.
이 때문에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올해 인도 경제가 6% 이하의 성장률을 나타내 1970~1980년대 수준으로 굴러 떨어질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BNP파리바의 리차드 일리 이코노미스트는 "인도 경제가 두 자리 수 성장을 기록하는 모습은 백미러에서나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물가에 발목 잡힌 경제= 인도 경제가 미끄럼을 타기 시작한 때는 지난 200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세계적 경기 침체 속에 유가와 원자재값이 급등하면서 뛰기 시작한 물가는 인도 경제를 뒤흔들었다. 지난해 인도의 월별 물가상승률은 9%를 넘나들어 5~6% 선을 기록한 중국보다도 훨씬 높았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루피화 가치마저 폭락해 물가 급등을 부추겼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해 8월 달러 당 44루피였던 환율은 12월 53루피까지 상승(통화가치 하락)했다. 원유와 원자재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인도로서는 견디기 어려운 충격이다.
다급해진 금융당국은 금리 인상 카드를 꺼내 들었다. 2009년 물가상승률이 14%를 돌파한 이후 인도 중앙은행(RBI)은 2010년 3월부터 13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끌어 올렸다. 세계 각국이 경기 부양을 위해 앞다퉈 저금리 정책을 도입한 것과는 정반대의 길을 간 것이다.
문제는 금리가 오르면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고 기업은 신규 투자를 꺼려 경기가 꺾일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단적인 예가 인도 2위 통신업체인 릴라이언스커뮤니케이션(RCom)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억만장자 아닐 암바니 회장이 이끄는 이 회사는 최근 중국 3개 은행에서 총 12억달러를 대출했다. 각종 규제로 대출이 까다로운 중국에 손을 벌릴 정도로 인도 기업의 유동성 부족이 심각하다는 뜻이다.
또한 인도 최대 제당업체인 쉬리 레누카와 항공업체인 킹피셔 등이 재정 문제로 파산위기에 처했고 국영항공사인 에어 인디아는 정부 구제금융으로 간신히 연명하는 처지다.
다만 일부에서는 RBI가 조만간 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지난해 12월 물가상승률이 7.47%로 2년래 최저치를 나타내 경기 부양에 나설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수비르 고칸 RBI 부총재는 이달 초 "물가가 계속해서 안정세를 나타낼 경우 금리를 내릴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밝히기도 했다.
◇인도 떠나는 외국 기업=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외국 기업들이 인도 투자를 망설이고 있다"고 최근 보도했다. 기업인들에게 인도가 더 이상 '기회의 땅'이 아니라는 것이다.
인도는 지난해 약 300억달러의 외국인직접투자(FDI)를 유치했지만 대다수 자금이 에너지사업 등 일부 덩치 큰 거래에 몰려 있다. 경제협력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해 1~9월 인도의 FDI는 브라질의 절반, 중국과 비교하면 6분의1 수준에 불과하다. 실제로 15억달러를 투자해 인도 통신시장에 뛰어들었던 노르웨이 최대 통신업체 텔레노르는 최근 인도 대법원이 통신면허를 취소하는 판결을 내리면서 시장 철수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허가 경제'로 불릴 정도로 까다롭고 변덕스러운 정부의 각종 규제와 부정 부패도 인도 시장의 매력을 떨어트리는 요인으로 꼽힌다. 영국 통신업체인 보다폰의 경우 지난 2007년 인도 통신업체 허치슨 에사르를 11억달러에 인수했으나 인도 정부가 25억달러의 세금 폭탄을 물리면서 4년 넘게 피 말리는 소송전을 벌여왔다. 이 소송은 지난달 보다폰의 승리로 결국 막을 내렸지만 이와 비슷한 사례는 지금도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는 게 WSJ의 지적이다.
이밖에 인도 정부는 세계 최대 가구 소매업체인 이케아 등을 겨냥해 현지 회사와 합작하지 않고도 점포를 열 수 있는 규제 개혁안을 내놓았지만, 인도 중소기업의 상품을 30% 이상 팔아야 한다는 조건을 달아 사실상 진입 장벽을 낮추지 않았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크다.
유럽과 이란 등 대외 리스크에 정부의 헛발질이 겹치면서 지난해 인도 주가는 24.8%나 하락했다. 이는 아시아 국가 중 최악의 실적이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0년 290억달러가 유입된 해외 펀드는 지난해 10억달러 규모로 주저 앉았다.
더구나 전통적으로 포퓰리즘 성향이 강한 인도 정치권은 지난해 상정한 반(反)부패 개혁 입법안을 아직까지도 통과시키지 못할 정도로 리더십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어 투자자들의 신뢰 회복이 요원하다고 FT가 분석했다.
◇무궁무진한 잠재력은 매력= 하지만 비관적인 전망만 나오는 것은 아니다. 인도 경제가 장기적으로 커다란 잠재력을 갖췄다는 데에는 대다수 전문가들이 모두 고개를 끄덕이고 있다.
가장 큰 장점은 10억명에 달하는 압도적인 인구다. 추산 기관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오는 2050년 인도 인구는 16억명을 돌파해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 인구대국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미국의 12분의1에 불과한 1인당 GDP까지 계산에 넣으면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셈이다. 더구나 급격한 노령화를 앞둔 중국에 비하면 인구 구조 역시 양호해 인도가 앞으로 '인구 보너스'를 본격적으로 즐길 것이란 분석이 많다.
비록 느리지만 경제 구조의 개혁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다만 중앙정부보다 지방정부의 영향력이 강한 인도의 정치 지형을 고려하면 만모한 싱 총리의 리더십이 관건이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동시에 고속도로 등 인프라 개선도 숙제가 될 전망이다. 지난해 GDP 대비 재정적자가 7.7%를 기록해 투자 여건은 녹록하지 않지만 어떻게든 지갑을 열어야 한다는 게 재계 지도자들의 주장이다. 인도의 국민기업으로 통하는 타타그룹의 라탄 타타 회장은 이에 대해 "인프라 투자 확대가 인도 경제의 회복을 이끌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다급해진 금융당국은 금리 인상 카드를 꺼내 들었다. 2009년 물가상승률이 14%를 돌파한 이후 인도 중앙은행(RBI)은 2010년 3월부터 13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끌어 올렸다. 세계 각국이 경기 부양을 위해 앞다퉈 저금리 정책을 도입한 것과는 정반대의 길을 간 것이다.
문제는 금리가 오르면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고 기업은 신규 투자를 꺼려 경기가 꺾일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단적인 예가 인도 2위 통신업체인 릴라이언스커뮤니케이션(RCom)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억만장자 아닐 암바니 회장이 이끄는 이 회사는 최근 중국 3개 은행에서 총 12억달러를 대출했다. 각종 규제로 대출이 까다로운 중국에 손을 벌릴 정도로 인도 기업의 유동성 부족이 심각하다는 뜻이다.
또한 인도 최대 제당업체인 쉬리 레누카와 항공업체인 킹피셔 등이 재정 문제로 파산위기에 처했고 국영항공사인 에어 인디아는 정부 구제금융으로 간신히 연명하는 처지다.
다만 일부에서는 RBI가 조만간 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지난해 12월 물가상승률이 7.47%로 2년래 최저치를 나타내 경기 부양에 나설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수비르 고칸 RBI 부총재는 이달 초 "물가가 계속해서 안정세를 나타낼 경우 금리를 내릴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밝히기도 했다.
◇인도 떠나는 외국 기업=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외국 기업들이 인도 투자를 망설이고 있다"고 최근 보도했다. 기업인들에게 인도가 더 이상 '기회의 땅'이 아니라는 것이다.
인도는 지난해 약 300억달러의 외국인직접투자(FDI)를 유치했지만 대다수 자금이 에너지사업 등 일부 덩치 큰 거래에 몰려 있다. 경제협력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해 1~9월 인도의 FDI는 브라질의 절반, 중국과 비교하면 6분의1 수준에 불과하다. 실제로 15억달러를 투자해 인도 통신시장에 뛰어들었던 노르웨이 최대 통신업체 텔레노르는 최근 인도 대법원이 통신면허를 취소하는 판결을 내리면서 시장 철수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허가 경제'로 불릴 정도로 까다롭고 변덕스러운 정부의 각종 규제와 부정 부패도 인도 시장의 매력을 떨어트리는 요인으로 꼽힌다. 영국 통신업체인 보다폰의 경우 지난 2007년 인도 통신업체 허치슨 에사르를 11억달러에 인수했으나 인도 정부가 25억달러의 세금 폭탄을 물리면서 4년 넘게 피 말리는 소송전을 벌여왔다. 이 소송은 지난달 보다폰의 승리로 결국 막을 내렸지만 이와 비슷한 사례는 지금도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는 게 WSJ의 지적이다.
이밖에 인도 정부는 세계 최대 가구 소매업체인 이케아 등을 겨냥해 현지 회사와 합작하지 않고도 점포를 열 수 있는 규제 개혁안을 내놓았지만, 인도 중소기업의 상품을 30% 이상 팔아야 한다는 조건을 달아 사실상 진입 장벽을 낮추지 않았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크다.
유럽과 이란 등 대외 리스크에 정부의 헛발질이 겹치면서 지난해 인도 주가는 24.8%나 하락했다. 이는 아시아 국가 중 최악의 실적이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0년 290억달러가 유입된 해외 펀드는 지난해 10억달러 규모로 주저 앉았다.
더구나 전통적으로 포퓰리즘 성향이 강한 인도 정치권은 지난해 상정한 반(反)부패 개혁 입법안을 아직까지도 통과시키지 못할 정도로 리더십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어 투자자들의 신뢰 회복이 요원하다고 FT가 분석했다.
◇무궁무진한 잠재력은 매력= 하지만 비관적인 전망만 나오는 것은 아니다. 인도 경제가 장기적으로 커다란 잠재력을 갖췄다는 데에는 대다수 전문가들이 모두 고개를 끄덕이고 있다.
가장 큰 장점은 10억명에 달하는 압도적인 인구다. 추산 기관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오는 2050년 인도 인구는 16억명을 돌파해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 인구대국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미국의 12분의1에 불과한 1인당 GDP까지 계산에 넣으면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셈이다. 더구나 급격한 노령화를 앞둔 중국에 비하면 인구 구조 역시 양호해 인도가 앞으로 '인구 보너스'를 본격적으로 즐길 것이란 분석이 많다.
비록 느리지만 경제 구조의 개혁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다만 중앙정부보다 지방정부의 영향력이 강한 인도의 정치 지형을 고려하면 만모한 싱 총리의 리더십이 관건이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동시에 고속도로 등 인프라 개선도 숙제가 될 전망이다. 지난해 GDP 대비 재정적자가 7.7%를 기록해 투자 여건은 녹록하지 않지만 어떻게든 지갑을 열어야 한다는 게 재계 지도자들의 주장이다. 인도의 국민기업으로 통하는 타타그룹의 라탄 타타 회장은 이에 대해 "인프라 투자 확대가 인도 경제의 회복을 이끌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728x90
LIST
'여행관련유용한팁 > 가고픈세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BBC 선정 죽기전에 꼭 가봐야 할 50곳 제2/2부 (0) | 2012.03.08 |
---|---|
BBC 선정 죽기전에 꼭 가봐야 할 50곳 제1/2부 (0) | 2012.03.07 |
Ep.07 아디오~ 싸바이디 라오스 -옮긴글- (0) | 2011.11.01 |
[스크랩] 가보고 싶은 두바이 프로젝트 (0) | 2011.08.31 |
세계여행 1분만에 하기....^^;;; (0) | 2011.08.09 |